티스토리 뷰

​은퇴 후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서는 월별 생활비를 체계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2023년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의 '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'에 따르면, 한국 가구의 노후 최소생활비는 월 251만 원, 적정생활비는 월 369만 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​이러한 공신력 있는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, 은퇴 후 월 생활비고정 지출 / 유동 지출 / 예비비 항목으로 나누어 상세하게 시뮬레이션해 보겠습니다.

 

은퇴-후-생활비-상세-시뮬레이션
은퇴 후 생활비 상세 시뮬레이션

 

목차

  1. 고정 지출 항목
  2. 유동 지출 항목
  3. 예비비
  4. 월별 총 지출 시뮬레이션
  5. 노후 생활비 준비 팁

1. 고정 지출 항목

매달 반드시 나가는 비용으로, 주거비, 공과금, 보험료 등이 해당됩니다.

항목 예상 금액 비고
주거비 30~80만 원 자가/전세/월세 여부에 따라 상이
공과금 & 통신비 20만 원 전기, 수도, 가스, 통신 포함
보험료 30만 원 건강보험, 실손, 장기요양 등

2. 유동 지출 항목

생활 패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지출입니다. 식비, 교통, 의료, 여가비 등이 있습니다.

항목 예상 금액 비고
식비 70~100만 원 외식 빈도에 따라 증가 가능
교통비 10~30만 원 자가용 유무에 따라 상이
의료비 20~50만 원 만성질환 및 병원 방문 횟수에 따라 차이
여가 & 문화 50~100만 원 여행, 문화생활 등 포함

3. 예비비

예상치 못한 지출을 대비한 금액으로, 전체 월 지출의 약 10~20% 수준이 적절합니다.

  • 예비비: 25만 원 ~ 55만 원

4. 월별 총 지출 시뮬레이션

자가 거주전세/월세 거주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.

거주 형태 고정 지출 유동 지출 예비비 총합
자가 거주 80만 원 150만 원 25만 원 255만 원
전/월세 거주 130만 원 280만 원 55만 원 465만 원

5. 노후 생활비 준비 팁

  • 조기 준비: 연금, 적금, 보험 등은 30~40대부터 준비해야 여유로운 노후 가능
  • 소득 다변화: 국민연금 외에 개인연금, 퇴직연금 등 확보 필요
  • 지출 관리: 은퇴 후 수입은 줄어들기 때문에 소비 습관 개선 필수
  • 건강 관리: 예방 중심의 건강 습관이 장기 의료비 절감으로 이어짐

📊 출처: 아시아경제: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 / 노후비용 시뮬레이션 블로그


🔚 마무리

은퇴 후 50년을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생활비에 대한 명확한 계획이 필요합니다. 지금부터 하나씩 준비해 보세요.